본문 바로가기

알뜰결혼정보

한복 꼭 해야 하나요?

 

다른 신랑·신부의 스튜디오 한복씬, 폐백 사진을 보면 사진도 잘나오고 예뻐서 하고 싶은데,

막상 하려니 비용과 시간을 생각하게 되는 게 한복이에요.
혼주 한복도 어디를 해야할지 모르겠고요. 고민되는 한복 해결해 드려요. 


스튜디오 원규노블레스 샘플

 


한복이 결혼할 때 꼭 필요한가요?

 

결혼 준비에서 아래 경우에 한복을 선택할 지 생각해보세요.

스튜디오 웨딩 촬영 한복씬 
결혼식 폐백
피로연 인사 의상 

​스튜디오 한복 촬영은 선택이에요. 하지만 폐백은 양가 부모님, 특히 신랑 부모님 의견에 맞춰하는 경우가 많아요. 폐백을 부모님이 원한다면 활옷 안에 입을 한복이 필요해요. 연회장에서 인사를 돌 때도 깔끔하고 단아한 한복이 결혼식을 찾은 어른들에게는 더 반응이 좋아요. 특히 본식 스냅에 한복의 색감은 예쁘게 나와서, 결혼식을 치른 분들은 한복을 피로연 의상으로 추천하기도 해요. 결혼식 이후에도 집 안 행사, 신혼여행 후 인사드릴 때,결혼 후 첫 명절 때 한복을 착용하기도 합니다.     

 

신랑신부가 한복 착용할 경우를 생각해 보세요. 양가 어른들이 신랑신부가 피로연에서 한복 착용을 원하실 때도 있어요. 의견을 수렴해 한복이 필요한 경우가 두 번 이상이라면, 맞춤 한복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아요. 

본식스냅 다미아떼 샘플

 

한복 대여가 나을까? 맞춤이 나을까?

​한복은 신부, 신랑, 혼주 한복 등 누가 입는지에 따라, 소재, 염색, 자수 등에 따라, 업체에 따라 가격 차이가 커요. 대략적으로 맞춤은 1벌당 40만 원부터~, 대여는 15만 원부터~ 시작해요. 보통 신부 한복을 맞춤할 경우, 많은 업체에서 신랑 한복을 무료로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해요. 어느 정도의 퀄리티 있는 대여 한복이라면 가격대가 높아지기도 하고요. 

​비용적으로 보면, 신랑신부 2번 대여 ≧ 맞춤 가격+신랑 한복 대여입니다. 또한 혼주 한복은 신부신랑 한복보다 유행을 덜타 형제 결혼식 및 가족 행사가 남아 있다면, 맞춤으로 많이 선택해요. 

 

앞으로 한복 입을 일이 없고 다채로운 한복을 입고 싶다면, 대여도 한 방법이에요. 단, 대여는 드레스처럼 홀딩되기 때문에 여유있게 한 달~두 달 전에 가는 게 좋아요. 막상 방문했을 때 마음에 드는 한복이 없고, 맞춤이 부담스럽다면 맞춤 대여를 추천해요. 맞춤 대여는 개인에 맞게 기장 수선, 고름, 저고리 소매 부분을 교체할 수 있어요.

 

본식스냅 다미아떼 샘플 

 

 

​선택이 아닌 필수! 혼주 어머니 한복

​결혼식 때 입는 어머니들 한복은 어른들 사이에서 신부의 드레스만큼이나 기억에 오래 남아요. 특히 화촉점화에서는 두 분이 중심이 되기도 하고요. 식전 인사에서 어머니들이 듣는 ‘한복이 참 예쁘네’, ‘잘 어울려’ 하는 말들이 어머니에게는 뿌듯함이자 자랑이 돼요.    

​신랑·신부뿐만 아니라 양가 어머니의 모습도 본식 스냅, DVD영상에 평생 남기도 해요. 한 번 뿐인 결혼식, 두 분 어머니의 한복에도 조금 더 신경을 쓰면 좋겠죠? 

혼주 한복 어떻게 해야 할까요? 

​양가 어머니의 한복은 필수인 만큼, 고민이 되는 건 당연해요. 샵 선택부터, 양가 어머니를 함께 모셔야 하는지, 원하는 디자인과 색상이 다르다면 통일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등 어른들의 일이라 선뜻 결정하기도 쉽지 않아요.

너무 고민할 필요는 없어요. 어머니 두 분의 의견을 따르면 돼요. 예전이야 신랑측은 푸른 계열, 신부측는 붉은 계열로 입었다고 하고, 여전히 그 색상대로 입기도 합니다. 전통이라고 해도 어머니마다 잘 어울리는 디자인과 색상이 다르고, 원하는 스타일이 분명 있어요. 그래서 요즘은 어머니들이 원하는 대로 많이 진행하는 편이에요. 양가 어머니에게도 신랑·신부의 결혼식은 인생에 중요한 순간이기에 그 뜻에 따라 맞춤 여부, 색상, 디자인, 소재, 샵을 결정하면 돼요. 

단, 양가 어머니의 한복이 너무 비슷하거나 너무 달라도 같이 서 계실 때, 민망할 수 있어요. 같은 한복샵에서 한다면 알아서 조율해주지만, 각자 다른 샵에서 한다면 양가 어머니들 중 먼저 한 한복 사진을 보고 참고하면 좋아요. 

숙현한복 인스타그램 

 

그럼 한복은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?

​대부분 신랑·신부는 어릴 때 이후로 한복을 입어본 적이 없어요. 이런 데 한복 디자인과 색상을 직접 골라야 하니, 어렵게 생각될 수 있어요. 고민이 무색하게 한복점을 방문하면, 전문가가 알아서 잘 어울리는 색상과 배색, 어울리는 저고리 모양 등을 추천해줘요.   

 

단, 한복은 피부톤과 맞는 색상이 정말 중요한 만큼 개인에게 어울리는 색상으로 추천해 주는지 살펴보세요. 한복도 드레스와 마찬가지로 직접 입어보고 색상 및 핏 등을 확인하는 게 좋아요. 맞춤일 경우, 추후 입을 경우를 고려한다면 디자이너에게 말하세요. 그럼 파스텔톤의 화려한 신부 한복보다는 단아하고 차분한 색상으로 추천할 거에요. 

 

 

<<​한복점 투어 시 필수 체크>>

​1. 한복 매장에 한복 전문 디자이너 상주하는지 살펴보세요.
2. 한복은 피부 톤에 맞는 색상과 배색이 중요해, 전문가의 역량이 중요해요.
3. 어머니와 함께 방문한다면, 어머니들의 의견 반영과 추천이 잘 이루어지는 확인하세요.
4. 두 분 어머니가 같은 샵일 경우 함께 방문하지 않아도 돼요. 따로 방문해도 한복 소재의 광택이나 색감 등 통일성을 줄 수 있어요.
5. 인기 한복점의 경우, 주말 예약은 3주 전에는 하는 것이 좋아요.